글 김성환
소위 ‘네오펑크’라는 표현이 처음 대중에게 반향을 일으켰던 1990년대 중반, 그 중심에는 그린 데이(Green Day)와 오프스프링(The Offspring)이 있었다. 전자가 1970년대 영국 펑크의 쓰리 코드 형식미를 가져와서 그 위에 팝적인 멜로디를 잘 얹어서 성공을 거두었다면, 오프스프링은 분명하게 언더그라운드 펑크 커뮤니티 적 애티튜드를 갖고 출발했음에도 그 위에 하드코어-메탈 리프부터 스카, 동양식 멜로디 등 다른 장르의 요소를 슬쩍슬쩍 잘 녹여가면서 자신들의 개성을 만들어 갔다. 우리가 그들의 대 히트곡 ‘Come Out And Play’를 떠올리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부분이 그 오리엔탈 멜로디의 기타 간주였고, 또 하나의 큰 히트곡 ‘Pretty Fly (For A White Guy)’의 주된 기조는 ‘메탈이 팝이었던 시대’를 반추한 풍자 그 자체 아니었던가. 게다가 ‘Why Don't You Get A Job’에서 그들은 루츠와 시골 적 감성까지 지혜롭게 건드렸었다.
※ 파라노이드 통권 39호 지면 기사의 일부입니다.
728x90
반응형
'MONTHLY ISSUE > ISSUE NO. 39'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RRY CANTRELL, 1990년대 앨리스 인 체인스의 헤비 사운드로 돌아온 (0) | 2025.01.01 |
---|---|
SEETHER,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세계로 도약한 포스트그런지 밴드 (0) | 2025.01.01 |
THE CURE, 압도하는, 압도당할 수밖에 없는 ‘올해의 앨범’ (0) | 2025.01.01 |
MARILYN MANSON, 인더스트리얼과 신성모독의 갑옷을 입고 부활한 (0) | 2025.01.01 |
TURMION KÄTILÖT, 핀란드에서 온 인더스트리얼메탈의 산파들 (0) | 202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