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SUE NO. 36
EXTREME, 진정한 올드스쿨 하드록의 매력과 멋
더보기
-
ISSUE NO. 36
METALLICA, 코로나-19 기간을 알차게 극복하고 활용한 메탈 장인들의 지혜롭고 자신감 넘치는 결과물
더보기
-
ISSUE NO. 36
GRAYWOLF, AOR에서부터 그런지 마니아까지 어우를 수 있는 포용력
더보기
-
ISSUE NO. 36
RIVAL SONS, 모든 면에 있어서 밴드의 정점임을 확인시켜주는 일곱 번째 앨범
더보기
-
ISSUE NO. 36
QUEENS OF THE STONE AGE, 끈덕진 스토너 블루스의 완전 재림
더보기
-
ISSUE NO. 36
THE ANSWER, 뚝심 있게 블루지 하드록을 고집해온 북아일랜드 록 밴드의 7년만의 신작
더보기
-
ISSUE NO. 36
BLACK STAR RIDERS, 역사를 회전하는 시간 교차로
더보기
-
ISSUE NO. 36
ELEGANT WEAPONS, 주다스 프리스트의 리치 포크너가 결성한 새로운 밴드
더보기
-
ISSUE NO. 36
BEYOND THE BLACK, 부가적 관심에서 확실하게 벗어나 진 일보한 밴드의 현재 모습
더보기
-
ISSUE NO. 36
TWILIGHT FORCE, 그 겨울의 골짜기에서 발생한 교향악적 비상
더보기
MONTHLY ISSUE
-
EXTREME, 진정한 올드스쿨 하드록의 매력과 멋
익스트림이 여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 [Six]로 돌아왔다. 복귀작 [Saudades De Rock](2008) 이후 15년 만이다. 첫 싱글 ‘Rise’가 발표되고 록 키드들은 카피 영상을 유튜브에 공유하며 일종의 현상을 만들어가는 등 여러 이슈를 만들었다. 새 앨범의 발표와 함께 익스트림의 과거와 현재를 돌아본다. 글 송명하 익스트림(Extreme)이라는 밴드명 때문에 이들의 음악을 듣지 못했던 이들은 블랙메탈이나 데스메탈처럼 극한의 헤비메탈을 연상할 수도 있지만, 익스트림의 음악은 클래식 하드록의 직접적인 영향권 아래서 펑크(funk)와 헤비메탈을 접목한 독특한 형태의 것이었다. 익스트림이라는 밴드 이름은 그 사전적 의미가 아니라, 익스트림으로 활동하기 전 보스턴에서 보컬리스트인 게리 셰론(Gary ..
더보기
-
METALLICA, 코로나-19 기간을 알차게 극복하고 활용한 메탈 장인들의 지혜롭고 자신감 넘치는 결과물
글 성우진 소위 ‘록의 르네상스 시기’로 불렸던 1970년대 이후 그야말로 슈퍼스타급이자 레전드로 인정되는 수많은 하드록 밴드와 솔로 로커들의 경쟁과 그 계보 혹은 음악들은, 록 음악 역사를 공부하듯이 추종하던 마니아급들에게는 눈이 시리고 입이 아픈 당연지사 정도의 상식이다. 그중에서도 특유의 스피디하며 광폭하고 요란함이 특징인 스래쉬메탈의 아이콘이자, 헤비메탈 그 자체 같은 운명이자 영광스런 밴드 명을 지닌 메탈리카(Metallica)는 필자의 팝 칼럼니스트 프로 입문 데뷔작(1988년 4집 해설지)이자 운명처럼 일생을 따라다닌 몇 안 되는 이름 중 하나다. ※ 파라노이드 통권 36호 지면 기사의 일부입니다. METALLICA, “이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은, 20년 전에도 우리가 해봐서 잘 아는데...”..
더보기
-
GRAYWOLF, AOR에서부터 그런지 마니아까지 어우를 수 있는 포용력
글 송명하 스위스에서 결성된 그레이울프(Graywolf)가 셀프타이틀의 첫 앨범을 발표했다. 그레이울프는 일종의 중고참 신인 밴드다. 드럼을 맡고 있는 스티브 가서(Steve Gasser)는 스테판 프리스틀리(Stephen Priestly)라는 이름으로 켈틱 프로스트(Celtic Frost)에서 활동했고, 줄리언 멘스(Julien Menth)는 에메랄드(Emerald)의 기타리스트다. 이 외에도 멤버들은 퓨어 아이엔씨(Pure Inc.), 빅 클라이드(Big Clyde) 등 스위스 록의 중심에서 활동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메탈’이라는 공통분모 외에 익스트림메탈에서 파워메탈에 이르기까지 제각각의 색깔을 가지고 있는 뮤지션의 조합은 다소 생경하다. 과연 이들의 손에서 나온 음악은 어떤 색깔을 가지..
더보기
-
RIVAL SONS, 모든 면에 있어서 밴드의 정점임을 확인시켜주는 일곱 번째 앨범
글 송명하 일곱 번째 앨범이다. 그동안 라이벌 선즈(Rival Sons)의 앨범 발매 주기를 생각할 때 공백이 조금 긴 편이다. ‘Do Your Worst’로 한껏 끌어올린 기세를 몰아 그래미 록 앨범 부문 후보에 오른 [Feral Roots](2019)와 역시 록 퍼포먼스 부문 후보에 오른 싱글 ‘Too Bad’ 발표 이후 4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 사이에는 모두가 알고 있다시피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이 있었다. 물론 라이벌 선즈에게도 예외일 순 없었다. 보컬리스트 제이 뷰캐넌(Jay Buchanan)은 “우리는 공연을 통한 관객과의 마법과도 같은 상호작용을 놓쳤다. 그걸 빼앗겼을 때, 정말 의미 있는 것들에 대해 노래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며 “세상의 모든 삶은 지금 너무 무겁게 느껴진다. ..
더보기
-
QUEENS OF THE STONE AGE, 끈덕진 스토너 블루스의 완전 재림
글 허희필 모든 계보가 얽혀 오늘에 이른다. 50세 음악인 조시 호미(Josh Homme)는 1987년 캘리포니아의 카이어스(Kyuss)에서 기타를 잡았다. 그 이후 스크리밍 트리스(Screaming Trees)를 거쳐 감마 레이(Gamma Ray 게르만 메탈의 전설과는 동명으로 묶인다) 프로젝트를 도맡는다. 여기에는 밴 코너(Van Conner 스크리밍 트리스)와 맷 캐머런(Matt Cameron 사운드가든, 펄 잼) 등이 가세한 이력이 남아 있다. 그러나 록계(界) 아래 같은 이름은 있을 수 없기에 조시는 1998년 새로이 퀸스 오브 더 스톤 에이지(이하 QOTSA)를 발족시킨다. 달큼살발하게 신생한 이름만큼이나 특별한 불씨로 가공한 얼터너티브 하드 세션은 그러나 사실상 조시의 1인 체제로 시작된 것..
더보기
-
THE ANSWER, 뚝심 있게 블루지 하드록을 고집해온 북아일랜드 록 밴드의 7년만의 신작
글 김성환 앤서(The Answer)의 7번째 정규 앨범 [Sundowners]의 발매 소식을 듣고 오랜만에 2007년 그들을 인천 펜타포트록페스티벌에서 만나 인터뷰했던 기억이 떠올랐다. 인터뷰 장소에 들어왔을 때부터 정말 1970년대 초반에 살다가 갑자기 타임머신을 타고 2007년으로 왔나 싶은 카리스마를 선사했던 보컬리스트 코맥 니슨(Comac Neeson)의 외모에 압도당했던 기억. 그러나 대답은 얼마나 친절하고 상냥하게 해주던지... 40분 정도 시간동안 정말 재미있고 알찬 인터뷰를 했던 기억이 난다. ※ 파라노이드 통권 36호 지면 기사의 일부입니다. The Answer, Welcome To The Little Hell 북 아일랜드 출신의 블루스/하드락 밴드 앤서의 다섯 번째 정규 앨범. 노련미..
더보기
-
BLACK STAR RIDERS, 역사를 회전하는 시간 교차로
글 허희필 서유럽이 록 르네상스를 진척하던 시기에 나타난 씬 리지(Thin Lizzy)는 아일랜드산 최고의 밴드이다. 이들을 인지하며 필 라이넛(Phil Lynott)이라는 별을 함께 떠올리는 건 필연이지만, 파란만장한 항해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는 꾸준한 음악적 의식 또한 중요하다. 일견 유닛의 포맷을 띠지만, 엄연히 씬 리지의 ‘유지’를 이어나가는 후속 밴드 블랙 스타 라이더스의 로킹한 행보가 믿음직스런 이유다. ※ 파라노이드 통권 36호 지면 기사의 일부입니다. Black Star Riders, 씬 리지의 계보를 충실히 계승한 클래식 하드 락이 전하는 ‘공격성’ 지난 파라노이드 2013년 6월호에서 이들의 첫 앨범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 적이 있지만, 블랙 스타 라이더스는 아일랜드의 전설적 락 밴드..
더보기
-
ELEGANT WEAPONS, 주다스 프리스트의 리치 포크너가 결성한 새로운 밴드
글 송명하 록 팬이라면 2001년 개봉한 ‘록 스타(Rock Star)’라는 영화가 익숙할 것이다. 극 중에서 마크 월버그(Mark Wahlberg)가 맡았던 크리스 콜(Chris Cole)이라는 배역과 그가 보컬로 있던 밴드 스틸 드래곤(Steel Dragon)은 각각 롭 핼포드(Rob Halford)의 후임 팀 오웬스(Tim Owens)와 주다스 프리스트(Judas Priest)에서 모티브를 얻은 걸로 유명하다. 롭 핼포드가 다시 제 자리로 돌아온 지금 크리스 콜의 모습은 이제 기타리스트 리치 포크너(Richie Faulkner)와 겹친다. ※ 파라노이드 통권 36호 지면 기사의 일부입니다.
더보기
-
LIVE REPORT
FESTIVAL 2022, 코로나-19, 그리고 더위와의 싸움. 하지만 다시 만날 수 있어 다행이다.
드디어 2022년. 코로나-19 상황을 뚫고 본격적인 음악페스티벌이 제 모습으로 돌아왔다. 물론 팬데믹 이전과 똑같을 순 없었지만, 관객들은 그동안 억눌렸던 심정을 증명이라도 하듯 그 어느 해보다 적극적으로 행사장을 찾았다. 많은 우려의 시선이 있었지만 어쨌거나 비교적 무사하게 행사는 마무리되었고, 오랜만의 만남이었던 만큼 관객들은 잃어버렸던 전장의 전우를 만난 듯 반가움을 가슴에 품고 이전과는 또 다른 행복에 취할 수 있었다. 이번 지면에서는 이러한 즐거움 이면에서 느꼈던 아쉬움에 대해 취재진이 직접 취재했던 인천펜타포트록페스티벌과 전주얼티밋뮤직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정리해봤다. 취재, 글 송명하 더위와의 싸움, 인천펜타포트록페스티벌 2022 인천펜타포트록페스티벌은 코로나-19가 다시 정점으로 치닫는 시기..
더보기
-
LIVE REPORT
송골매,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이 날았던 록 밴드, 다시 날개를 펴다.
취재, 글 송명하 40년 만에 배철수와 구창모가 한 무대에서 송골매라는 이름으로 공연을 펼쳤다. 해외의 전설적인 밴드가 재결합 공연을 갖는 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기분이 이랬을까. 설레는 마음으로 순회공연의 첫날인 9월 11일, 공연장인 케이스포돔을 찾았다. 공연시작 전 스피커에서는 ‘Bad Case Of Loving You (Doctor, Doctor)’, ‘Comeback’, ‘Inside Looking Out’, ‘Play That Funky Music’ 등 송골매가 활동하던 무렵 카피곡으로 자주 무대에서 선보였던 곡이 흘러나오며 공연의 분위기를 띄웠다. 이윽고 예정된 시간이 되며 객석과 무대의 불이 꺼지고 미리 준비한 시간 여행을 연상시키는 영상으로 공연이 시작됐다. 화려한 불꽃과 함께 무대 앞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