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Chicago, 통산 36번째 앨범이자 신곡들로만 채워진 6년만의 신보를 낸 아메리칸락의 숨 쉬는 전설 이미 한국에서도 공연을 여러 번 가진 바가 있지만, 개인적으로 시카고의 라이브를 제대로 처음 감상할 수 있었던 것은 2011년 5월 뉴저지 웰몬트 씨어터(Wellmont Theatre)에서의 공연이었다. 글 김성환 | 사진제공 Evolution Music 사실 함께 공연을 보러 갔던 한국인 일행들은 그저 ‘If You Leave Me Now’나 ‘Hard to Say I'm Sorry’와 같은 그들의 대중적 팝 발라드만 기억하는 수준에서 공연을 관람했기에 (내가 추천을 해서 그들을 데려갔지만), 아주 만족스러운 표정들을 짓지는 않았다. 레퍼토리는 초기 시대의 대표곡들부터 최고의 상업적 전성기를 맞았던 1980년대의 히트곡들까지 골고루 배치되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러나 지역 문화회관 같은 극장식 홀 안에.. 더보기 Uriah Heep, 45년째 변함없는 락의 열정을 지키고 있는 1970년대 대표 밴드가 발표한 2014년 최신작 한국에서는 장대한 락 서사시 ‘July Morning’과 서정적 피아노 발라드 ‘Rain’의 인상이 지나치게 강했던 것, 그리고 그들의 1970년대 전성기의 앨범들이 당대에는 [Look At Yourself](1971)을 제외하고는 국내에 거의 소개가 되지 않았던 탓에 밴드 유라이어 힙은 당대의 다른 대표적 하드락 밴드들보다 그들의 음악적 진가를 국내 팬들에게 인정받지 못한 감이 있다. 건반 연주가 주도하는 프로그레시브/아트락적 면모에 가려진 밴드의 하드락/초기 헤비메틀 에너지를 일반 대중이 만나기는 (일부 빽판 매니아들 외에는) 쉽지 않았으니까. 글 김성환 | 사진제공 Evolution Music 게다가 그들의 음반들이 제대로 실시간으로 소개되기 시작할 무렵에는 밴드의 핵심 멤버이자 리더인 믹 박스(M.. 더보기 김추자, [늦기 전에](1969) ~ [It's Not Too Last](2014) 김추자의 기자회견이 있은 뒤, 기자회견에 참석했던 텐아시아의 권석정 기자와 잠시 이 음반에 대해 얘기할 기회가 있었다. 그 때 난 김추자가 복귀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얘기를 했다. 그 뒤 열린 ‘리사이틀’ 역시도 같은 이유를 들어, 가지 않았다. 그 이유는 바로 기억 속의 김추자로 남기고 싶다는 것이었다. 글 송명하 | 사진 최규성 난 솔직히 어려서부터 김추자의 노래를 듣고 자란 세대는 아니다. 하지만 머릿속에 기억이 남을 무렵부터 김추자의 이름은 어디에나 존재했다. 맞다. 하나의 대명사처럼 이름으로 존재했단 얘기가 맞을 듯하다. 부모님들이 TV의 채널의 소유권을 쥐고 있을 당시, 김추자가 TV에 나오면 아이들은 다른 방에 가 있던지, 밖에 나가 놀아야했다. 지금 생각한다면 이는 단지 ‘19금’의 딱지를.. 더보기 Green Plugged Seoul 2014, 2014년 페스티벌 시즌 스타트! 이번 GPS에는 총 97개 밴드가 공연을 펼쳤다. 다른 페스티벌에 비해서 비교적 ‘강한’ 사운드를 내는 밴드들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고, 강을 끼고 고즈넉한 분위기에 취해볼 수도 있는 공연. 5회를 맞은 GSP는 피크닉과도 같이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도심형 페스티벌이라는 이미지를 더욱 굳힌 공연을 만들어냈다. 앞서도 얘기했지만, 부득이하게 피할 수 없었던 날씨 얘기는 이제 접어두고. 취재, 글 송명하 | 사진 전영애 더보기 The Hysterics, Fxxing Bad Ass Rock N’ Roll!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 까지 한국의 메이저 씬을 기반으로 활동했던 밴드 ‘이브’는 김세헌의 매력적인 보이스와 내 귀에 도청장치 출신의 기타리스트 정유화가 만들어내는 감각적인 리프로 대중의 사랑을 한 몸에 받았다. 글 ShuhA | 사진제공 Wild Side 몇 번의 멤버 교체를 거쳐 보컬 김세헌과 기타 정유화 두 사람의 구성으로 재편된 밴드는 대략 2년여의 준비 기간을 거쳐 이모코어를 표방했던 바닐라 유니티(Vanilla Unity) 출신의 기타리스트 닉(Nick, 바닐라 유니티에서는 베이스를 맡았었다)과 투 인디언(Two Indian)의 베이시스트 이창현, 드러머 자리엔 지하드(Zihard) 출신 조명찬을 영입, 새로운 밴드 히스테릭스(The Hysterics)를 결성한다. 더보기 Hollow Jan, 긴 여행 마치고 환생하다. 할로우 잰(Hollow Jan)이 두 번째 앨범 [Day Off]로 돌아왔다. 1집 [Rough Draft in Progress](2006) 이후 월드컵만 두 번째이니 가히 ‘환생’이라 할 만하지 않을까. ‘죽음’을 헤치고 돌아온 이들과의 이야기를 통해 이번 앨범의 내면을 살펴보았다. 글 한명륜 | 사진제공 Dope Entertainment 고대로부터 많은 서사시와 전설은 죽음을 다루어 왔다. 알 수 없는 임종 이후의 시간을 이야기와 노래로 만들어 인과를 부여한 것. 이를 통해 죽음에 대한 무지로부터 오는 두려움을 잊고자 했지만 정작 그 노래들은 아픔의 정수로 남았다.할로우 잰이 8년 만에 발표한 앨범 [Day Off]는 발표부터 ‘죽음’을 주제로 한 음악으로 관계자들의 큰 관심―대중음악 수요자들의 적극.. 더보기 Ishtar, 정규 음반 발매에 앞서 공개하는 일종의 ‘티저’ 음반. 여성 소프라노 보컬을 전면에 내세운 심포닉메틀을 추구하는 이슈타르의 EP [Center Of Your Soul]이 공개됐다. 정식 데뷔앨범 [Conquest]가 발매되고 3년 만에 발표된 음반. 그 간에 밴드에게도 적잖은 변화가 있었다. 글 송명하 | 사진제공 Ishtar 이슈타르가 결성된 건 2006년이다. 한 장의 정규음반 외에 EP와 디지털 싱글을 발표하기도 했지만, 뭔가 한 걸음 더 나가려할 때면 언제나 멤버의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결성 때부터 현재까지 함께 하고 있는 멤버는 보컬의 빈나(Binna)와 기타의 (Grey) 밖엔 없다. 물론 그렇다고 밴드가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노선이 바뀐 건 아니다. 이미 밴드에 있어서 각각 피부와 골격을 담당하고 있는 멤버들이 꾸준하게 밴드를 지탱하고 있기 때문.. 더보기 Erehwon, 중고참 멤버들이 모인 멜로딕 스피드메틀 프로젝트. 그 결과물의 성패를 떠나서, 국내 멜로딕 스피드메틀의 수용층에 비해 그 밴드의 입지는 얄팍하기 이를 데 없다. 물론 정통메틀 밴드들이 자신의 음반에 하나 둘씩 이런 성향의 곡을 담아내긴 했지만, 온전히 뚜렷한 노선을 가지고 음반을 발표한 밴드는 손에 꼽을 정도보다도 적다. 이러한 시장에 정식으로 출사표를 던진 밴드가 있다. 독특한 이름을 가진 에레혼(Erehwon)이 바로 그들이다. 글 송명하 | 사진제공 Evolution Music 에레혼은 2010년에 결성된 밴드로 이번에, 발표하는 음반은 그들의 첫 번째 EP다. 보컬에 이재훈, 기타 이주형 그리고 드럼에 정두원으로, 밴드를 구성하고 있는 멤버 세 명이 모두 레전드(Legend)의 유일한 앨범 [The Lost World](2009)에 참여했던 멤버.. 더보기 파라노이드 2014년 5월호 (통권20호) 23 Cover Story: Arch Enemy28 Linkin Park32 Marty Friedman36 Equilibrium38 Vader40 Suicide Silence42 Mayhem44 Overkill46 Nervosa48 Led Zeppelin50 Mount Salem 52 Mantar 54 The Shrine56 Loudness58 Hurtsmile59 Unisonic60 Night Ranger62 Tesla64 Anette Olzon65 Stream Of Passion66 Tarja68 Chicago70 Uriah Heep72 Kenny Wayne Shepherd 74 Tone Of Ages : 스트라토캐스터 탄생 60주년 기념 펜더 커스텀샵 한국 로드쇼 76 Collecter's Odys.. 더보기 파라노이드.. 열심히 만들고 있습니다 ㅠ 몇월호라고 말씀드리기도 참 죄송하지만, 열심히 만들고 있습니다. 늘 삐걱거리는 모습 보여드려 죄송하지만, 어쨌거나 열심히는 만들고 있습니다 ㅠㅠ다음주 중에 디자이너에게 모두 인계해서 최대한 빨리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마감과 함께, 사이트에 조금 변화를 줬습니다.우선 우측에 FREE BOARD라고 되어있는 포럼을 하나 만들었습니다.해외에는 게시판보다 포럼을 많이 사용하죠?사실 국내에는 잘 어울리지는 않지만...지금 파라노이드 웹사이트는 티스토리 블로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다소 불편한 점 중 하나였던 게시판 기능에 도움이 될까 생각해서 설치해봤습니다.방명록에 글 남기기 힘드셨던 분들, 주제나 부담 없이 사용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또 하나는, 티스토리 자체 댓글과 페이스북 소셜 댓글 대신에 디스.. 더보기 이전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 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