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김원석
지난 20세기 말, 미국 아이오와 출신으로 슬립낫(Slipknot)이라는 특이한 밴드가 신에 등장했다. 사운드는 당시 뉴메탈이 와전되어 알려진 하드코어라고 했었는데 격렬한 드러밍에 반해 기타는 드롭튠으로 묵직하게 갈겨대는, 카테고리간의 하이브리드가 이뤄지는 당대의 그 시기였어도 명확한 정의를 내리기가 쉽지는 않았던 헤비 사운드였다. 멤버 구성도 매우 특이하여 디제이에 샘플러에, 턴테이블 등 이름도 없이 #0~#8, 또는 #9까지 넘버링으로 호칭하며, 떼거리로 몰려다니는 데다 주기적으로 바뀌는 마스크와 점프 수트를 필두로 하는 기믹도 정말 특이했다.
※ 파라노이드 통권 35호 지면 기사의 일부입니다.
Slipknot, Farewell to my friend
익스트림 헤비 뉴메틀 밴드 슬립낫이 위기를 딛고 다섯 번째 정규 앨범을 발매했다. 우선 이번 앨범의 타이틀이 보여주듯, 이번 앨범은 슬립낫의 사운드 보다는 코리 테일러의 또 다른 밴드 스
www.paranoidzine.com
728x90
반응형
'MONTHLY ISSUE > ISSUE NO. 35'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RATOVARIUS, 핀란드 파워메탈의 상징적 밴드, 과거 본류에 가까운 사운드로 7년만의 귀환 (0) | 2023.01.31 |
---|---|
ARCH ENEMY, 멜로딕 데스메탈은 물론 헤비메탈의 정점까지 탐닉한 (0) | 2023.01.31 |
HALO EFFECT, 예테보리 멜로딕 데스메탈 신의 진짜 드림팀 발족! (0) | 2023.01.31 |
AVATARIUM, 다음 단계로 진화하는 밴드의 현재 모습 (0) | 2023.01.31 |
CLUTCH, 확고한 틀 안에서의 신선한 변화 (0) | 2023.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