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허희필
거장은 자신의 템포를 만든다. 가치를 고려할 수 없는 작품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작품의 구별도 거기서 비롯되지 않을까. 그러나 단순 템포로는 작품의 가치를 대별할 수 없다. 더구나 거장의 템포는 정체되지 않은 근기(根氣)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영국의 장인 밴드 유라이어 힙(Uriah Heep)의 25번째 작품 [Chaos & Colour]는 근기로서의 템포와 근기 어린 템포를 모두 거느린 앨범이다. 구태여 국적을 기입하는 까닭과 의미는 무엇인가. 밴드 음악의 지계(地契)들이 각각의 빽빽한 영토를 담보하던 시절의 영국에서 유라이어 힙은 살아남았기 때문이다.
※ 파라노이드 통권 36호 지면 기사의 일부입니다.
Uriah Heep, 45년째 변함없는 락의 열정을 지키고 있는 1970년대 대표 밴드가 발표한 2014년 최신작
한국에서는 장대한 락 서사시 ‘July Morning’과 서정적 피아노 발라드 ‘Rain’의 인상이 지나치게 강했던 것, 그리고 그들의 1970년대 전성기의 앨범들이 당대에는 [Look At Yourself](1971)을 제외하고
www.paranoidzine.com
728x90
반응형
'MONTHLY ISSUE > ISSUE NO. 36'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EEL PANTHER, ‘철범 유랑 악단 쇼’ 제6막 (0) | 2023.08.19 |
---|---|
JOHN DIVA & THE ROCKETS OF LOVE, 독일에서 날아온 순수한 글램메탈 밴드 (0) | 2023.08.19 |
YES, 혁신이 필요한 밴드의 현 주소 (0) | 2023.08.19 |
SUPERSONIC REVOLUTION, 네덜란드 출신의 멀티 플레이어 아르옌 루카센이 재연한 ‘음악의 황금기’ (0) | 2023.08.19 |
염명섭, 부박한 시대를 끌어올리는 힘 (0) | 2023.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