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파라노이드 2013년 1월호 (통권 7호) 18 Cover Story : Led Zeppelin30 Hatebreed 34 Metallica35 Chickenfoot36 Flotsam And Jetsam38 The Sword40 Royal Hunt41 Kotipelto & Liimatainen42 Geoff Tate44 Last Autumn's Dream46 Eclipse47 Paradox48 1980년대 이후 HR/HM 기타 변천사 (1)58 Doll$boxx 60 Hellride Ride On 1216 송설 X 파고다64 Cratia68 Diablo72 Remnants Of The Fallen76 Party Maker80 붉은나비합창단84 A-Frica88 Nahu 92 영화속에 미친 HR/HM94 Rock Chart Beat96 News &.. 더보기
2012년 12월호 인증샷 퍼레이드~ 어김없이 인증샷 올립니다. 찍어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또 다음호를 향해!!! 더보기
Remnants Of The Fallen, 부제 바람직한 인터뷰어와 인터뷰이의 자세 2013년을 맞아 EP를 발표하고 새로운 출발선에 서 있는 렘넌츠 오브 더 폴른의 인터뷰 장면입니다. 일명 남영동 샷으로 불린다는... 이들과의 인터뷰 내용은... 파라노이드 1월호에서 볼 수 있겠죠? 참고로, 파라노이드 인터뷰의 올바른 인터뷰어와 인터뷰이의 자세라고 할까요... 인터뷰 담당은 ShuhA입니다.. ^^ 더보기
정기구독자를 위한 선물 제작~ ^^ 정기구독자를 위한 조그만(진짜 작습니다;;) 선물 하나를 만들었습니다. 투명에 은색 글씨의 스티컵니다. 오늘부터 발송되는 책에 한개씩 넣어서 보내드릴께요~ 아.. 물론 아이팟을 드리는 건 아닙니다;;; 정기구독은 http://paranoidzine.com/notice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 더보기
All That Remains, 헤비메틀의 혼돈의 시간을 정리한 이번 앨범은 트랙의 배치가 참으로 좋다. 앨범 전체를 몇 번이고 반복해서 들어도, 쉽게 질리지 않을 정도로 각 수록곡들의 장점이 정돈되게 자리하고 있다. 메틀코어의 지평을 열었다. 그리고, 감성을 더했다. 또한 지치지 않게 감상할 수 있는 메틀코어의 완성을 보여줬다. 그들이 바로 올 댓 리메인즈(All That Remains)다. 하나의 장르로 국한시킬 수 없는 다채로운 음악적 매력을 담은 6집 앨범을 내놓은 이들을 만나 본다. 글 고종석 | 사진제공 Dope Entertainment 더보기
Destruction, 독일 정통 스래쉬메틀의 진수 스래쉬메틀을 논하며, 그리고 헤비메틀의 탐미적 유연성을 연상했을 때 디스트럭션(Destruction)을 논하지 않을 수 없다. 이들은 스튜디오 앨범을 포함, 총 18장의 앨범을 발표해 나왔다. 그리고 지난 11월 데뷔 30주년이라는 기념비적인 질주의 완성을 담은 신보 [Spiritual Genocide]를 발표했다. 글 고종석 | 사진제공 Evolution Music 더보기
Kamelot, 밴드가 여전히 건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작 역시 카멜롯은 소위 말하는 클래스가 다른 팀임을 입증한 수작이다. 그리고 새로운 보컬리스트인 토미 역시 로이 칸의 빈자리를 메울 수 있을 만큼 뛰어나다. 최근 본 광고 중에 “예측 가능한 사람이 믿을 수 있는 사람입니다.”라는 카피가 상당히 기억에 남는다. 믿을 수 있는 사람이란 것을 말 그대로 늘 자신의 자리를 지키며, 누군가 기대하는 바로 그 몫을 해내는 사람일 것이다. 글 석영준 | 사진제공 Evolution Music 더보기
Mors Principium Est, 멜로딕 데쓰메틀계의 신성 모스 프린시피움 이스트, 모험이 성공할 수 있을까? 밴드의 원년 멤버이자 사운드의 핵심이라 할 수 있었던 두 명의 기타리스트가 밴드를 떠나고 아무래도 보컬 중심의 사운드로 변화한 첫 번째 앨범. 선배들의 위대한 유산을 답습하는데 그치지 않고 독자적인 영역을 만들어 내는데 성과를 거두기 시작한 기점이 되는 앨범이다. 글 ShuhA | 사진제공 Evolution Music 더보기
Devin Townsend Project, ‘크리에이티브’를 넘어서는 울림 매니악한 취향의 극단을 보여주던 밴드 스트래핑 영 래드(Strappin' Young Rad)는 그 페이즈(phase)를 종료했다. 물론 데빈 타운센드의 실험적 에너지도 같은 운명을 걸을 것으로 본 이들은 드물었을 터다. 그는 자신의 이름에 ‘프로젝트’라는 명칭을 붙인 음악집단으로 4장의 시리즈 앨범을 발표했다. 첫 두 번째 앨범인 [Ki]와 [Addicted]의 발표는 2009년, 후반 두 앨범 [Deconstruction]과 [Ghost]는 2011년. 프로젝트의 이름을 걸고 나온 앨범으론 5번째인 이번 [Epicloud]는 이를 정리하는 ‘작가후기’인 셈이다. 데빈에겐 15번째 스튜디오 앨범. 숨막히는 디스코그래피다. 글 한명륜 | 사진제공 에볼루션뮤직 더보기
Periphery, “이 앨범에선 멜로디와 분위기가 가장 중요했다.” 우리는 단지 음악을 사랑하는 평범한 사람들이다. 우리는 삶의 경험과 영감을 노래에 불어넣으려 노력하고 있다. 음악은 다른 이에게 행복함, 슬픔, 흥분 등 어떤 감정이든 느끼게 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며, 어떤 방향으로든 우리 음악이 청취자에게 감흥을 일으키도록 노력하고 있다. 우리 모두는 음악을 가르치며, 배우기 좋아하고, 듣는 것도 좋아한다. 또한 쉽게 다가갈 수 있고 허심탄회한 사람들이므로 페이스북에서, 또는 우리가 한국에 간다면 반갑게 맞아주길 바란다. 새로운 앨범 [Periphery II]의 발매와 함께 드러머 매트(Matt Halpern)와 나눈 이메일 인터뷰를 정리했다. 인터뷰 질문작성 조일동 | 인터뷰 진행 임명상 | 사진제공 Dope Entertainment 2012/08/23 - [Month..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