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ONTHLY ISSUE

Lordi, 잘 편집된 헤비메틀 백과사전 핀란드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꾸준한 인지도를 구성하고 있는 몬스터메틀 그룹 로디의 신보가 발매되었다. 헤비메틀의 주요 요소가 잘 짜인 이들의 음악과 그 배경을 소개한다. 글 고종석 헤비메틀을 경배케 만든 그룹 로디2006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우수 메틀 퍼포먼스’를 수상했으며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도 등장했던 슬립낫(Slipknot)과 잭 스패로우(Jack Sparrow)로 대변되는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 사이에서 로디(Lordi)의 이미지는 성립된다. 리더인 미스터 로디(Mr. Lordi; 보컬)부터 ‘혼란의 대군주’, 마나(Mana; 드럼. ‘악마’), 아멘(Amen; 기타. ‘고대 미라’), 오엑스(OX; 베이스. ‘미노타우루스’), 헬라(Hella; 키보드. ‘뱀파이어 백작 부인’) 등의 캐릭.. 더보기
Mors Principium Est, 이제는 장르적 한계를 벗어나 좋은 멜로디를 담기 시작했다. 지난 2012년 12월 파라노이드 기사를 통해 보컬리스트 빌리 빌야넨(Ville Viljanen)을 중심으로 새롭게 재편된 모스 프린시피움 이스트의 미래에 관해, 선배들의 유산을 걷어내고 독자적인 방향을 찾기 시작한 의미를 지닌 앨범이란 평을 했다. 글 ShuhA | 사진제공 Evolution Music [...And Death Said Live] 당시의 모스 프린시피움 이스트(Mors Principium Est)는 장르적 한계에 부딪힌 멜로딕 데쓰메틀 계에 모던 헤비니스의 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대두된 모던 멜로딕 데쓰메틀의 선두 격에 있는 밴드이었으며 그와 같은 음악적 특성은 이전의 선배들이 만들어 놓은 캐치감이 좋은 훅의 멜로디보다 서사적인 구조의 멜로디를 더욱 중요시 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더보기
Foo Fighters, 데뷔 20년차를 맞은 정상급 얼터너티브락 밴드, 여전히 신나게 ‘소리의 고속도로’를 질주 중 1994년, 커트 코베인이 자신의 머리에 권총을 겨누고 쓰러진 지 20년이 지났다. 그와 함께 너바나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이후 커트의 밴드 동료 데이브 그롤이 드럼 스틱 대신 기타를 붙잡고 시작한 한 밴드는 ‘그런지 그 이후(Post-Grunge)’ 시대가 낳은 최고의 밴드로 평가받으며 올해로 20년째를 맞았다. 락 전문 라디오가 사라져가고, 힙합과 일렉트로닉 등살에 락이 눌려 사는 이 시대에 여전히 1970년대 아레나 락 밴드들의 영광을 이어가는 푸 파이터스가 3년 만에 신보와 함께 돌아왔다. 글 김성환 | 사진제공 Sony Music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사용되었던 미확인 비행 물체를 뜻하는 용어를 그룹의 이름으로 삼고, 너바나(Nirvana)의 드러머가 밴드의 리더와 보컬을 맡는다는 그 사.. 더보기
Billy Idol, 80년대 영국 락의 향수까지 포괄한 원조 펑크락 아이콘, 9년 만의 귀환 빌리 아이돌은 1970년대 후반 섹스 피스톨스와 클래시로 대표되던 영국 펑크락이 한창 그 열기를 뿜고 있었던 시점에 등장했지만, 그가 최초로 결성했던 밴드 제너레이션 엑스는 강성 펑크락 밴드들이 앞 세대의 모든 대중음악의 아이콘들을 거부했던 것과 달리 1960년대 영국 팝/록의 멜로딕한 요소에 기반을 둔 펑크 록을 연주했다(당대의 펑크락 밴드들 가운데서는 드물게 매우 주류 팝 스타들이 더 많이 출연했던 TV 음악 프로그램 ‘Top of The Pops’에도 출연할 정도였다). 글 김성환 그리고 영국의 펑크 붐이 끝나고 제너레이션 엑스(Generation X)가 해체한 직후인 1981년, 그는 아직도 언더그라운드에서는 꾸준히 펑크의 열기가 뜨거웠던 미국 뉴욕으로 이주해 솔로 아티스트로서 활동을 이어갔다. .. 더보기
Ten, 새로움과 과거의 잔영이 흐르는 영국 하드락과 헤비메틀의 역사에서 중요한 맥을 짚고 있는 그룹 텐의 11집 앨범이 발매되었다. 정제된 테크닉의 아름다운 물결과 서정적인 틀을 선보여 나온 텐의 음악을 마주해 본다. 글 고종석 | 사진제공 Evolution Music 영국 하드락과 헤비메틀의 온화한 호흡붓의 결이 두터웠던 미국 하드락과 헤비메틀의 전개와 달리 영국의 변화감은 늘 전 세계 음악의 가장 큰 축을 차지해 나왔다. 범위적 측면에서 영국의 움직임은 다양한 장르의 확장보다는 락음악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세부적인 요소를 고르게 채워 나온 것도 사실이다. 영화음악에 버금가는 드라마틱힌 사운드와 심포니컬한 락사운드를 전매특허처럼 사용해서 10장의 앨범을 발표했던 그룹 텐(Ten)이 11집 앨범 [Albion]을 내놓았다. 더보기
Sonata Arctica, 그들만이 할 수 있을 15주년 기념 파티!!! 유러피언 멜로딕 스피드메틀 팬들에게 스트라토바리우스, 나이트위시 등과 함께 핀란드에 각별한 애정을 느끼게 만들어 준 소나타 아티카는 이제 명실상부한 최고의 자리에 오른 밴드이다. 글 석영준 | 사진제공 Evolution Music 소나타 아티카(Sonata Arctica)는 데뷔 이후 15년 동안 꾸준히 음악 활동을 벌여옴과 함께 매 앨범마다 새로운 시도로 스스로를 발전 시켜 온 밴드라는 점에서 음악팬들과 뮤지션들에게 참으로 많은 것들을 시사하고 있는 팀이라고 생각한다. 한때 유러피언 멜로딕 스피드 메탈계의 가장 빛나는 신성으로 꼽히던 이들이 이제 세월이 흘러 15주년을 스스로 축하하는 앨범을 제작하였다. 2014/04/26 - [Monthly Issue/March 2014] - Sonata Arctic.. 더보기
Victorius, Dream Of Victory 독일은 유럽에서도 음악과 특출한 연을 맺고 있는 나라다. 모차르트, 베토벤, 슈베르트 등의 역사에 길이 남을 클래식 작곡가들 모두가 독일 출신 이었으며 (정확히는 오스트리아) 대중음악에 있어서도 독일 출신의 뮤지션들은 그 특유의 유려한 멜로디 라인을 주 무기로 세계에서 각광받고 있다. 글 ShuhA | 사진제공 Evolution Music 이번에 두 번째 앨범을 발매한 밴드 빅토리어스 역시 독일출신으로 이미 데뷔 [The Awakening]이 2013년 2월호 파라노이드를 통해 소개됐다. 멜로딕 스피드/파워메틀의 팬이라면 충분히 앞으로 주목할 가치가 있는 그들의 서포모어 앨범 [Dreamchaser]를 살펴보자. 2013/03/10 - [Monthly Issue/February 2013] - Victor.. 더보기
Show-Ya, 30주년 기념, 일본의 전설적인 락 넘버들을 노래하다 일본, 아니 전 세계 여성 락밴드들 가운데서도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오랫동안, 또 왕성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쇼야의 신보가 발매됐다. 이번 음반은 전설적인 일본의 락 넘버들을 커버한 음반이며, 밴드의 결성 30주년을 기념하는 첫 번째 프로젝트다. 글 송명하 | 사진제공 Master Works 올해 4월, 일본에서 직접 취재했던 ‘나온노야온 2014’는 공연도 공연이지만 쇼야(Show-Ya)라는 한 밴드가 일본 ‘걸스락’계에 있어서 얼마나 대단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현지 인터뷰에서 신티아(Cyntia)와 가챠릭 스핀(Gacharic Spin), 또 디 드라이브(D_Drive)는 누구라고 할 것 없이 쇼야와 같은 무대를 꾸미고 그들과 협연 한다는 것에 대한 흥분 자체로 .. 더보기
Anthem, Welcome to Absolute World 국내에서도 지지도가 높은 파워보컬 유키오 모리카와를 다시 맞아들인 앤썸! 제3의 전성기가 시작됐다! 글 ShuhA Back Story2014년 2월 일본을 대표하는 헤비메틀 밴드 중 하나인 앤썸(Anthem) 측으로부터 중대발표가 보도 되었다. 오랜 기간 밴드와 함께 해온 보컬리스트 에이조 사카모토(Eizo Sakamoto)가 음악성의 차이로 밴드를 떠나고 그의 후임으로 유키오 모리카와(Yukio Morikawa)가 가입했으며, 부상으로 인해 밴드를 떠난 드러머 히로츠구 홈마(Hirotsugo Homma)를 대신하여 서포터 멤버로 활약해온 유우 다마라(Yu Damara)를 정식 멤버로 받아들였다는 것. 한국에서도 지지도가 높은 보컬리스트 유키오 모리카와는 일본의 그레이엄 보넷(Graham Bonnet)으.. 더보기
Vamps, ‘Over the L’arc en Ciel’, 하이도의 근원적 에너지 제목은 저렇게 붙였는데, 걍, 낚시다. 뱀프스는 라르크 앙 씨엘과는 완전 별개다. 물론 하이도의 여러 측면 중 하나가 발전적으로 반영되어 있긴 하지만, 최근 뱀프스가 보여주는 음악적 성과는 단지 그런 연관관계 이상의 무엇이다. 글 한명륜 | 사진제공 Universal Music 결과론적이긴 하지만, 2005년 발표된 [Faith]는 라르크가 됐건 솔로 프로젝트가 됐건 하이도의 음악에 있어 중요한 사건이었다. 펑크에 대한 하이도의 애정이야 익히 알려진 것이었지만 [Faith]에 실린 곡들은 단순한 애정 이상의 결과물이었다. 허락된 음표 길이의 한계에 달라붙는 끈적한 그루브에, 새로운 경지로 들어선 자신의 중저음 보컬, 그리고 무엇보다 입체적이면서도 투박하지 않은 기타 톤 등은, 그 이전까지 자신의 음악에 .. 더보기